제수의 진설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, 그리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.
그래서 가가례(가가례)라고도 하며 '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하고 참견말라'는 풍자적인 말까지 나오게 된 것이다.
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(동), 왼쪽을 서(서)라 한다.
진설의 순서는 맨 앞줄에 과일, 둘째 중에 포와 나물, 세째줄에 탕(탕), 네째줄에 적(적)과 전(전), 다섯째줄에 메와 갱을 차례대로 놓는다.
≫ 조율시이(棗栗枾梨) : 왼쪽에서부터 대추, 밤, 감, 배의 순으로.
≫ 홍도백서(紅東白西) : 붉은 과일은 동쪽에, 흰 과일은 서쪽에.
≫ 생동숙서(生東熟西) : 김치는 동족에 나물은 서족에.
≫ 좌포우혜(左脯右醯) : 포는 왼쪽에, 젓갈은 오른쪽에.
≫ 어동육서(漁東肉西) : 생선은 동쪽에, 꼬리는 서쪽에.
≫ 두동미서(頭東尾西) : 샌선의 머리는 동쪽으로, 꼬리는 서쪽으로.
≫ 건좌습우(乾左濕右) : 마른 것은 왼쪽에, 젖은 것은 오른쪽에.
≫ 접동잔서(蝶東盞西) : 접시는 동쪽에, 잔은 서쪽에.
≫ 우반좌갱(右飯左羹) : 메는 오른쪽에, 갱은 왼쪽에.
≫ 남좌여우(男左女右) : 제상의 왼쪽은 남자, 오른쪽은 여자.
|